Publications

Articles · Books · Book Chapters · Op-Eds


  • (forthcoming) 미 동맹국의 인도-태평양 해양전략에 대한 지역인식과 국가전략구상의 복합적 영향: 일본과 호주의 사례

    미 동맹국의 인도-태평양 해양전략에 대한 지역인식과 국가전략구상의 복합적 영향: 일본과 호주의 사례 (신승휴 지음 | 『국제지역연구(IASR)』 27(2) | 2023.6.30. 예정) 이 글은 일본 아베 정부와 호주 자유당 정부의 인도-태평양 지역 해양전략이 각각 ‘지정학적 확장(geopolitical expansion)’과 ‘지정학적 중심(geopolitical centrality)’을 지향하는 상이한 정책 정향을 드러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는 이들 국가의 전략이 국제체제의 구조적 변화나 각국이 마주한 […]

  • 한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아세안

    작년 11월 윤석열 대통령은 동남아 순방을 통해 ‘한국판 인도-태평양 전략’을 홍보하고, 아세안(ASEAN)과의 협력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서 ‘한-아세안 연대구상’을 발표하였다. 이는 한국이 글로벌 중추국가로서 국제적 입지를 견고히 하고 그 영향력을 확장하기 위해 국제협력의 지평을 넓히는 차원에서 추진된 것이었다. ‘인도-태평양’ 개념을 적극 수용함으로써 미국 중심의 동맹 네트워크에 대한 참여를 강화하고, 그 안에서도 중추국가로서 그 나름의 위상과 […]

  • The Cyber-Nuclear nexus and its impact on the stability of the international security order

    The Cyber-Nuclear nexus and its impact on the stability of the international security order (By Seung Hugh Shin |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12(4) | 2022) This paper aims to examine whether the cyber-nuclear nexus is changing or has the potential to change three fundamental elements of the international security order, namely structural, constitutive, […]

  • Can South Korea maintain its middle power status in the Indo-Pacific century?

    Can South Korea maintain its middle power status in the Indo-Pacific century? (By Seung Hugh Shin | Policy Forum | 2022) In the Indo-Pacific century, South Korea finds itself in a very different and more contested region, where the enablers of its economic and military power could rapidly disappear in a time of crisis. How […]

  • 호주의 사이버 안보 전략: 인도-태평양 지역과 중견국 외교

    호주의 사이버 안보 전략: 인도-태평양 지역과 중견국 외교 (신승휴 지음 | 도서출판 이조 | 2022) 이 책은 호주의 사이버 안보 전략을 단순히 균형 논리에 따른 반중 전략으로 볼 수 없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호주가 규범, 규칙, 제도에 기초한 사이버 질서를 도모하는 선제적, 규범적 중견국 외교를 추구해왔으며, 인도-태평양 지역 질서가 재편되어가는 국제관계의 구조 속에서 핵심적인 중개자로서 자국의 […]

  • 미국의 사이버 안보 국제협력 정책의 진화: 네트워크 이론과 구성적 제도주의의 시각

    미국의 사이버 안보 국제협력 정책의 진화: 네트워크 이론과 구성적 제도주의의 시각 (신승휴 지음 | 『국제정치논총』 62(2) | 2022) 이 글은 미국의 사이버 안보협력 네트워크가 오바마, 트럼프, 바이든 행정부를 거치면서 단(單)허브형에서 다(多)허브형을 거쳐 탈(脫)허브형으로 점차 진화해왔으며, 이는 각 행정부의 대외정책 기조를 구성하는 전략적 이해관계가 사이버 안보 담론과 관련 법제 및 정책에 영향을 미치며 비롯된 결과임을 보이고자 […]

  • 중견국 외교의 세계정치: 글로벌-지역-국내 삼중구조 속의 대응전략

    ,

    중견국 외교의 세계정치: 글로벌-지역-국내 삼중구조 속의 대응전략 (김상배·이승주·전재성 엮음 | 사회평론아카데미 | 2021) 제2장(신승휴) “사이버 안보 분야 호주의 중견국 외교전략”은 인도-태평양 지역 사이버 공간을 중심으로 미국과 중국이 벌이는 경쟁과 갈등 속에서 중견국 호주가 전개해온 외교전략의 사례를 복합 네트워크 이론의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미국의 오랜 동맹으로서 미중 양자택일의 압박과 중국발 사이버 공격을 동시에 받아온 호주는 2016년 새로운 […]

  • South Korea is ill-prepared for a refugee crisis

    South Korea is ill-prepared for a refugee crisis (By Seung Hugh Shin | Policy Forum | 2018) Asylum seekers have landed in South Korea, and along with them, the rise of a ‘two-faced’ policy that fails to hold water, Hugh Shin writes. This piece is published in partnership with The Monsoon Project, the student-run academic blog […]

  • 신흥권력과 신흥안보: 미래 세계정치의 경쟁과 협력

    ,

    신흥권력과 신흥안보: 미래 세계정치의 경쟁과 협력 (김상배 엮음 | 사회평론아카데미 | 2016) 제9장(신승휴) “난민문제와 호주의 중견국 외교 전략”은 1999년부터 2001년 사이 호주와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난민 위기가 발생하였을 당시 이를 타개하기 위해 호주가 전개하였던 중견국 외교 전략을 네트워크 이론의 시각에서 살펴보았다. 당시 최대 피해국이었던 호주가 다자협력 주도를 통해 자국의 안보를 증진하고 더 나아가 문제 해결에 […]